홍은동 남녀하우스 malefemale house
location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홍은동 Hongeun-dong, Seodaemun-gu, Seoul, Korea
year : 2017.09 - 2018.10 완공 completed
use : 단독주택(협소주택) single-family house
area : 109.20m² (33평)
photo : 진효숙(별도표기 외)Hyosook Chin
남녀의 전통적 역할이 점점 희미해져 가는 현대사회의 흐름에 따라 주택내에서의 프라이버시와 주택 공간의 기본적 성격 또한 변화하고 있다. 과거의 가부장적인 대가족 시대에서 당연스레 간과되어 왔던 가족간의 프라이버시, 특히 부부간의 프라이버시 조차도 이제는 가장 기본적으로 지켜져야 하는 것이 되었으며 이는 여성의 사회활동 참여에 따른 경제적 독립성이 한 몫을 한다. In accordance with the flow of modern society in which the traditional roles of men and women are increasingly blurred, the privacy in the house and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the housing space are also changing. Privacy between family members, especially between husband and wife, which had been overlooked for granted in the past patriarchal extended family era, has now become the most basic thing to be observed, and economic independence according to women's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plays a part.
전면 입면의 곡선과 반대 입면의 직선이 대비된다.
The curve of the front elevation contrasts with the straight line of the opposite elevation.
그에 따라 주방은 먹을 것을 생산하는 전통적 기능이 축소되고 음식의 소비에 적합한 큰 식탁이 놓인 카페와 같은 공간으로 변모하였다. 홍은동 남녀하우스에서의 일층에 위치한 주방 또한 예비신혼부부인 건축주가 퇴근후 들르는 집안의 와인바이다. Accordingly, the traditional function of producing food was reduced and the kitchen was transformed into a cafe-like space with a large table suitable for food consumption. The kitchen, located on the first floor of malefemale house, is also a wine bar in the house that the engaged owner stops by after work.
주방 앞 작은 정원에서는 화분을 키울 수 있다.
You can grow pots in the small garden in front of the kitchen.
1층 주방, 2층 거실, 3층 침실은 각 층이 하나의 방이다.
The kitchen on the 1st floor, the living room on the 2nd, and the bedroom on the 3rd, each floor is a single room.
가운데 계단을 중심으로 집의 모든 공간은 문이 없이 흐른다.
With the central staircase as the center, all spaces in the house flow without a door.
거실과 침실은 같은 면적과 형식으로 구성되어 둘간의 프라이버시를 느슨하게 하지만 각각 독립적인 화장실을 가짐으로 인해 다시금 거실은 남성의 공간으로, 침실은 여성의 공간으로 암묵적으로 점유된다. 거실의 청록빛 대리석벽과 침실의 붉은빛 나무벽은 그러한 속성을 상징적으로 나타내는 재료이다. Living room and bedroom on different floors loosen the privacy between them because they have the same area and type, however, with independent toilet on each, the living room is again implicitly occupied by men and the bedroom by women. Blue-green marble wall in the living room and red wooden wall in the bedroom are symbolic materials that represent such properties.
나뭇잎 패턴의 방범창이 돌출되어있다.
The leaf pattern security window protrudes.
내부공간의 대칭적 형식이 그대로 드러난 형태는 남북방향으로 다른 성gender의 얼굴을 드러내고, 마치 바로크 성당을 축소시킨 것과 같은 모습은 전형적인 형식과 스케일의 불일치로 인해 기념품 샵의 미니어쳐와 같은 귀여운 느낌을 자아낸다. The symmetry of interior space reveals the faces of different genders to the north and the south and the figure, as if it were a miniature of a Baroque Cathedral in a souvenir shop, creates quite a cute feeling due to its mismatch of style and building scale.
곡선과 원형창은 익숙한 듯 낯선 이미지를 만든다.
The curved walls and round windows seem familiar but create an unfamiliar image.
또 하나의 집처럼 생긴 옥상 놀이공간은 외부 데크와 연결된다.
Another house-like rooftop play area is connected to the outside de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