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필운동 서울교회 대수선 seoul church, pirun

location : 서울시 종로구 필운동 Pirun-dong, Jongno-gu, Seoul, Korea

year : 2024.10 -  construction in progress

use : 근린생활시설 neighborhood facility

area : 154.95m² (47)

2(2).jpg


역사적으로 교회가 지녔던 전형적인 형태와 요소들을 대상 건물이 가진 한계와 현실적 조건을 수용하며 받아들인 결과 새로운 건물은 자연스럽게 교회라는 “오리duck”와 기능적인 근생, “(장식된decorated) 헛간shed”의 사이에 일종의 하이브리드, “오리화된 헛간ducked shed”으로 존재한다. 이는 한 건물을 둘러싸고 나타나는 복잡한 관계들로 인해 더 이상 “오리”와 “장식된 헛간”으로 단순히 이분법적 구분이 어려워진 현대사회의 다양성을 드러낸다. Historically rooted in the archetypal form and elements of churches, the new building accepts the limitations and pragmatic conditions of its context. As a result, it emerges as a kind of hybrid—a “ducked shed” that lies somewhere between the traditional “duck” of a church and the functional “decorated shed” of a neighborhood facility. This ambiguous identity reflects the complexities surrounding contemporary architecture, where the clear-cut dichotomy between “duck” and “decorated shed” is no longer sufficient to describe the layered relationships embedded in a single building.

front.jpg
choisy.jpg

 

더해진 종탑, 절제된 창, 박공지붕을 통해 기존의 박스형 근생은 점점 교회같은 형태에 다가간다. 

With the addition of a steeple, carefully restrained windows, and a gabled roof, the once box-like neighborhood facility slowly transforms, approaching the silhouette and sensibility of a traditional church.

1.jpg


샌드위치 패널로 마감된 철골조 건물인 근생의 기능적 박스 형태에 서울교회에 오래전부터 내려오던 종을 위한 탑을 기존의 계단실 위에 올리고 예배당이 들어갈 최상층의 천장은 기존 평슬래브를 철거한 후 박공의 볼륨으로 변형하여 예배공간의 성스러움을 더한다. 또한 가벼운 유리 주출입문은 제거되고 새로 설치되는 다소 커다랗고 묵직한 철제 출입문은 종탑, 박공지붕과 함께 세속적인 용도의 건물이 아님을 은연중에 드러낸다. Originally a utilitarian box-shaped steel-frame structure clad in sandwich panels, the building—once a typical neighborhood facility—begins its quiet transformation into a place of worship. An old bell, long part of the Seoul Church tradition, finds a new home atop the existing stairwell in a newly added tower. The top floor, intended for the sanctuary, has its flat slab roof removed and is reshaped into a gabled volume, lending a sense of sacredness to the worship space. The lightweight glass entrance doors are replaced by a large, heavy steel door, which, along with the steeple and gabled roof, subtly signals that this is no longer a secular building. 

필운동 석고볼륨 사진.JPG

 

형태의 실루엣과 내부의 볼륨은 리모델링의 제약으로 인해 일치하지 않는다. 

The silhouette of the form and the interior volume do not align due to the constraints of remodeling.

3.jpg


그와 동시에 경사지에 건물이 앉을때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지면과의 쪼개진 단들을 주변에 흔한 화강석을 이용하여 교회의 아랫부분에 그대로 적용하여 동네의 일상적 어휘와 맥을 같이하고 그 윗 부분은 스터코를 적용하여 하나의 덩어리감을 가짐으로서 교회스러움과 서촌스러움을 동시에 가진다. 기존 건물에 남겨져 외부로 노출된 구조 형강을 포함해 모든 구조요소들, 외부계단, 날개벽 등을 모두 서촌의 무심함과 결을 같이하면서도 공사비 절감을 고려한 결과이다. At the same time, as the structure settles into the sloped site, the stepped base—often exposed in such contexts—is clad in familiar local granite, grounding the building in the everyday language of the neighborhood. Above this, a continuous stucco finish forms a monolithic mass, evoking both a sense of "church-ness" and the quiet humility of Seochon. All remaining structural elements—including the exposed steel members, exterior stairs, and wing walls—are left unadorned, aligning with the understated character of the area. These choices, while aesthetic, also reflect a conscious effort to minimize construction costs.

diagram2-01-01_r.jpg

 

온통 나무로 둘러쌓인 예배당까지 이르는 길은 나무와 돌, 세라믹 타일등의 자연재료로 이루어진다. 

The approach to the sanctuary, wrapped entirely in wood, unfolds through a sequence of natural materials -timber, stone, and ceramic tile- creating a quiet, tactile journey.

평면도-3.jpg
sec.jpg
필운동 3층1_edited.jpg
필운동 3층2_edited.jpg


입구에서 부터 3층의 예배당까지 이르는 계단과 공용홀은 붉은 톤의 나무와 트래버틴으로 마감되고 바닥은 자잘하고 다양한 종류의 타일을 깔아 공예적이면서도 집과 같이 친근한 감성이 돈다. 이 또한 교회신자들의 “교회같지 않은 교회, 집과 같이 푸근한 교회” 가 되길 소망하는 마음이 반영된 것이다. The staircase and shared halls leading from the entrance to the third-floor sanctuary are finished in reddish-toned wood and travertine, while the floors are laid with small, varied tiles that evoke a sense of craftsmanship and warmth—more like a home than an institutional space. This, too, reflects the congregation’s desire for a church that doesn't feel like a church, but instead offers the comfort and familiarity of a home.

필운동 3층 전체 모형_edited.jpg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