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성 디귿집 diguet jip, farmer's house
location : 충청북도 음성군 Eumseong-gun, Chungcheongbuk-do, Korea
year : 2015.08 - 2016 .11 완공 completed
use : 단독주택 Single Family House
area : 143m² (43평)
photo : 진효숙(별도표기 외) Hyosook Chin
논 한가운데 자리잡은 대지로 인해 보호된 외부공간이 필요하여 중정을 만들고, 두 가족의 사생활을 고려하여 순환형 ㅁ자 동선을 의도적으로 단절시키면서 얻어진 ㄷ집은 아파트를 떠나온 건축주에게 외부공간이 집안에 깊숙히 자리잡은 환경을 제공할 것이다. A courtyard was created because of the need for a protected outdoor space due to the site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rice fields. Considering the privacy of the two families, the ㄷ house, which was obtained by intentionally cutting off the circular ㅁ shape, will provide an environment where the outdoor space is deeply embedded in the house to the owner who has left the apartment.
밖에서는 단순한 형태로 보이지만 안에는 중정이 집의 중심역할을 한다.
It looks simple from the outside, but inside, the courtyard plays the role of the center of the house.
노부부와 젊은 부부는 디귿자 평면으로 인해 사생활을 보호받는다.
An old couple and a young couple have their privacy protected by a C-shaped plan.
애매한 크기와 모호한 개방감으로 인해 중정인듯 아닌듯 한 안마당은 그 자체가 한폭의 그림의 역할을 한다. 비가오는 날에는 안마당으로 경사진 지붕에서 흘러내리는 빗줄기와 소리들이 집 전체를 물들이고, 맑은 날에는 집 구석구석에 햇빛이 자연스레 시간을 알려주며, 창문을 열면 들어오는 시원한 바람은 더욱 외부공간과 일체화된 삶을 만들어준다. Due to its ambiguous size and sense of openness, the courtyard itself plays the role of a painting. On rainy days, the raindrops and sounds flowing down from the roof sloping to the courtyard color the entire house, and on a clear day, sunlight in every corner of the house naturally tells the time. When you open the window, the cool breeze that comes in creates a more integrated life with the outside space.